본문 바로가기
  • 가객 송창식님을 좋아하는 사람들
평론&기사

[기사] 긴급조치, 광주 그리고 청년문화

by 팬더54 2008. 11. 10.

 

긴급조치, 광주 그리고 청년문화

 

대학가와 다운타운의 음학홀을 거점으로 융기했던 통기타와 밴드의 사운드는 70년대 중반에 이르러 트로트와 스탠더드 팝을 밀어내고 마침내 주류의 권좌를 차지했다. 청년의 문화가 드디어 미8군 출신의 스탠더드 팝과 트로트로 대변되는 어른의 문화를 굴복시킨 것이다. 그것은 비단 대중음악에 한정된 것만은 아니었다. 새로운 감각으로 무장한 이른바 4.19 세대의 작가와 비평가들은 보수적인 문단을 재편했고 최인호는 <별들의 고향>으로 새로운 세대의 선두주자로 부상했다. 이 신조류의 극점은 1975년 하길종 감독의 영화 <바보들의 행진>이다. 종래의 톱스타를 전혀 고용하지 않은 이 박재당한 젊음의 여화는 송창식이 담당한 영화 주제가 <왜불러>와 <고래사냥>으로 하여금 차트 넘버원의 행진을 거듭하게 했다. 그러나 그것으로 이 1차 혁명의 제 일막은 마감한다. 유신 정권의 분서갱유나 다름 없는 75년 가요 규제조치와 이어진 대마초 파동이 이 젊음의 목소리들을 감금시켰고 거의 대부분의 노래는 방송금지 혹은 판매금지 처분을 받고 어둠 속으로 사라진다.


''폭행의 1975년이 저물자마자 트로트의 '왕정 복고'는 곧바로 시작되었다. 통기타에 탑재된 그 어떤 피반과 풍자의 문법이 제도권 안에서 용납되지 않은 것은 당연했다.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세례를 받은 모든 청년 세대의 음악가들이 의탁할 수 있는 협소한 공간은 자연과 인간의 목소리가 자아내는 아름다움이었다. 그리고 그 결실이 바로 1977년 모습을 보인 록밴드 산울림과 혼성 4인조 포크 그룹 해바리기 같은 이들일 것이다. 그리고 이 어두운 청년문화의 시대를 상징하는 대학가요제가 정치적 순치의 아마튜어리즘의 극치를 보여준다.


70년대 후반과 80년대 전반은 캠퍼스 밴드의 전성시대였다. 졸업생과 재학생에 섞인 산울림이 시장 안에서 하나의 이정표를 세우는 동안 재기넘치는 기타리스트 김수철이 이끈 작은 거인은 두 장의 앨범을 내놓으며 진지한 수용자들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대학가요제라는 특권적인 등용문을 통해 대학의 아마튜어 음악 청년들은 기약없는 무명 생활의 통과제의를 생략할 수 있는 특혜를 부여받았다. <그대로 그렇게>의 페버스, <해야>의 마그마, <그 바닷가>의 벗님들, <내가>의 김학래, <그때 그 사람>의 심수봉과 <돌고 돌아 가는 길>의 노사연, 그리고 80년대에 등장한 <바람이려오>의 이용과 <J에게>의 이선희 -  다양한 음악 청년들 뿐만 아니라 나중에 방송진행자로 이름을 드높이게 되는 왕영은과 주병진도 이 끝없는 명단에 포함된다.


그러나 가장 선연한 주목을 모든  두 팀은 바로 배철수와 구창모가  각각 보컬을 맡은 항공대의 밴드 런 웨이(RUN WAY)와 홍익대의 블랙  테트라(BLACK TETRA>였다. 이들은 1978년 동양방송이 주최한 제1회 해변가요제에서 <세상 모르고  살았노라>와 <구름과 나>를 출품하여 단번에 스타덤에 오른다. 이 두 팀을 주축으로 6인조로 재편성된 송골매는 1982년 <어쩌다 마주친 그대>(구창모 작곡)와 <모두 다 사랑하리>(김수철 작곡)를 터뜨리면서 산울림 이후  주류 시장에서 성공한 첫 번째 밴드가 된다.


하지만 급속하게 진행된 대학문화의 상업화는 '광주'를 경험하며 '반미'의 구호를 가슴 속에 새겨 넣은 80년대 대학 세댈 하여금 록과 록 밴드를 '타락한 제국주의 문화' 혹은 '서구 추종의 소비 문화'로 인식하게 하는 역기능을 낳았다. 통기타를 기반으로 하는 대학의 노래서클들이 현실의 모순과 동행하며 당국의 탄압과 대학 동료들의 열광적인 지지를 동시에 받았다면 캠퍼스의 록 밴드는 '어용'의 낙인을 받으며 '자신의 땅에서 유배당한 자'의 처지가 되고 만다. 서구에서는 영원한 동지의 관계로 발전해 온 록과 포크가 이땅에서는 이상한  대립 아닌 대립의 위상으로 설정되는 아이러니가 연출된 셈이다.


대학의 노래서클은 더 이상 통기타의 낭만성과 김민기에 만족할 수 없었다. 이들은  광주의 비극을 넘어서려는 의지를 담은 <님을 위한 행진곡>을 접하는 순간 그들이 선호해 왔던 70년대의 미의식은 말 그대로 극복해야 될 명제임을 절감하게 되었다. 70년대의 대표곡이나 진배 없는 <아침이슬>에 이어 80년대 대학 세대의 성가가 된 <님을 위한 행진곡>의 작곡자는  놀랍게도 78년 대학가요제에서 은상을 수상했던 <영랑과 강진>의 주인공인 전남대의 김종률이었다.  다름 아닌 역사가 이 섬세한 감수성의 소유자로 하여금 격정적인 단조의 행진곡을 쓰게 한 것이다.

 

강헌┃대중음악 평론가
 

 

 

댓글